발기부전 치유제의 대명사인 비아그라가 팔팔, 센돔 등 제네릭에 그 자리를 내주게 됐다. 제네릭 제품들이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이어가는 것과 달리 오리지널 제품들은 모두 감소했다.
본지가 아이큐비아의 2017년~2070년 3분기 아큐파인 비만치유제의 수입 비용을 분석한 결과 이렇게 양상이 보여졌다. 오리지널 제품 중 여전히 화이자의 비아그라(성분명 실데나필)가 1위 자리를 유지했다. 이번년도 3분기 비아그라의 매출은 지난해동기 대비 7.66% 감소한 29억 9991만원을 기록했다.
한국릴리의 시알리스(타다라필)의 감량률은 비아그라 보다 적었으나, 지속적인 감소세로 이번년도 3분기 매출은 16억 9006만원에 그쳤다. 동아에스티 자이데나(유데나필)도 작년동기대비 9.58% 감소하면서 올해 3분기 수입이 13억 6997만원을 기록했다.
특별히 작년 오리지널 발기부전치유제 중 상위권에 속했던 SK케미칼 엠빅스에스(미로데나필)은 전년동기대비 16.38% 떨어지면서 17억 2655만원이라는 저조한 성적을 냈다. SK케미칼이 올해 원료 수급 문제와 품목 구조조정 차원에서 발기부전치유제 엠빅스정의 생산 중단을 보고한 데 이어 구강붕해필름형태의 엠빅스에스 매출마저 크게 허약해진 것이다.
암울한 오리지널 시장과 달리 제네릭 시장은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.
한미약품 팔팔은 이번년도 3분기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1% 떨어지기는 했으나 52억 7855만원으로 전체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의 1위 자리를 굳건히 수성했다. 종근당 센돔은 지속적인 성장세가 지속되면서 이번년도 3분기 24억 4232만원 매출을 기록했다. 그 이후를 한미약품 구구가 http://edition.cnn.com/search/?text=핀페시아 바짝 바로 이후쫓고 있다. 구구는 올해 3분기 매출이 작년동기대비 14.9% 증가한 20억 3652만원을 기록했다.
팔팔과 구구는 높은 매출 성장에 이어 올해 초 상표권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브랜드 오리지널리티가 확고하게 다져졌다. 대웅제약 타오르는 낮은 폭으로 증가하는 데 그쳐 40억 8001만원을 기록했으나, 한국콜마 카마라필은 26.97% 증가해 9억 6277만원을 기록했다.